티스토리 뷰
Windows10(윈도우10) 메모리를 사용안해도 90%이상 100% 라니 !? 어쩐지, 느리더구나 ..
개발과는 관련없는 내용이나, 컴퓨터 앞에 하루종일 앉아있는 입장으로 근래에 컴퓨터가 너무 버벅대서 메모리를 확인해봤더니 (시작표시줄 - 우클릭 - 작업관리자 - 성능 탭) 메모리가 97%~100%를 계속 왔다 갔다 한다.
지금은 괜찮아 졌으며, 안 괜찮을때는 점유율만 높은게 아니라 실제로 컴퓨터가 너~~무 버벅대고 느렸다. 이런 증상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나 같은경우에는 잘 해결이 되었기 때문에 메모도 해둘겸 글을 작성해 놓기로 하였다.
검색을 해보고 여러가지 방법을 시도해 보았으나, 가장 효과가 좋았던 것은 Windows Network Data Usage Monitoring Driver (NDU) 란 기능 때문인데, 윈도우 8부터 생긴 기능으로 메모리 세부 모니터링 프로그램이다. 하는 역활은 네트워크 사용량을 보여주는 기능을 한다고 나와있는데, 사실 나도 잘 모르는 기능이다.
아무튼 나는 내가 얼마의 데이터를 썼는지 전~혀 궁금하지 않기 때문에 이 기능을 꺼버려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, 끄는 방법은 찝찝하지만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이용해서 값을 조금 수정해야 한다.
1. 윈도우키 + R을 눌러 실행창에 regedit 라고 입력 후 확인을 하면 아래의 레지스트리 편집 창이 나타난다.
2. HKEY_LOCAL_MACHINE\SYSTEM\ControlSet001\Services\Ndu 위치를 찾아가서 "Start" 값을 찾는다.
3. "Start" 값을 더블클릭 해 값 데이터가 2로 되어있던 부분을 4로 변경한다.
4. 재부팅을 해서 체감해본다.
수정 이후로 제법 오래 이런 저런 작업을 하며 컴퓨터를 켜 두었지만, 처음과같이 90%이상 올라가서 내려오지 않는 현상은 없어졌고, 컴퓨터의 속도는 체감이 아닌 아주 만족스러울 정도로 빨라 졌다.
'developme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xios 활용편 (CRUD, JWT Token, 예외처리 등) (0) | 2020.07.04 |
---|---|
Visual Studio Code로 Python 개발환경 셋팅하기 (0) | 2020.03.19 |
오라클,티베로,MSSQL 테이블 or 컬럼 정보(코멘트 포함) 조회 하기 (0) | 2019.11.19 |
Eclipse 에서 SVN 사용 시 node_modules 폴더 커밋예외 처리하기 (0) | 2019.08.06 |
이클립스(Eclipse) Workspace 환경설정 복사하기 (0) | 2019.07.22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취미생활
- 신세계 아카데미
- axios
- MSA
- zookeeper 클러스터
- windows환경
- slueth
- 트랜잭션 추적
- Eclipse
- 목탄
- Kafka
- 초보
- 프레임워크
- zookeeper
- ADL-LRS
- spring boot
- 풍경그림
- Python
- 그림 그리기
- 카프카클러스터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